반응형
오늘은 과일, 채소, 농작물을 재배할 때에는 시기가 있습니다. 수확하는 시기에 따라 품종을 달리 구분하는데 이때 우리는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오늘은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생종이란 무엇인가?
조생종이란 조생품종이라고도 하며, 같은 농장물이더라도 다른 것보다 일찍 성숙하여 수확시기가 빠른 품종을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품종은 일반적으로 수확량은 많지 않고, 비옥하고 평탄한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아니라 산간 고랭지, 척박한 곳에서 조생종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중생종이란 무엇인가?
중생종이란 조생종과 만생종 중간에 위치한 품종을 이야기하며, 재배 시기가 중간정도에 속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만생종이란 무엇인가?
만생종은 조생종의 반대로 같은 농작물 중에서도 늦게 성숙하고 수학시기도 늦는 품종을 이야기합니다. 대게 따뜻한 남부지방에 적응된 품종으로 따뜻하고 비옥한 땅에서 재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반응형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나누는 이유?
우리가 먹는 과일, 채소, 쌀 등의 농작물은 흔히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나뉩니다. 씨앗을 심고 재배를 할 때에도 생육 기간이 긴 만생종을 제일 먼저 심고, 중생종, 조생종의 차례로 수확기를 맞추어 관리를하죠. 이렇게 시기를 달리하여 구분하고 관리하는 이유는 같은 품종의 농작물이더라도 수확 시기에 따라 사용 용도, 맛, 그리고 효능도 달라기지 때문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