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효과(Recency Effect)란 무엇인가?
최신효과(Recency Effect)란 신근성 효과 또는 막바지 효과라도고 불리며, 우리 뇌가 가장 최근에 들어온 정보를 제일 잘 기억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초두효과(Primary Effect)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많이 언급되는 심리 효과중 하나이며, 미국의 심리학자 로버트 라나(Robert Lana)에 의해서 처음 제시된 심리 개념입니다.
초두효과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 내용을 확인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2022.11.03 - [마케팅, 심리학 용어사전] - 초두효과(Primary Effect)란 무엇인가? 초두효과 파헤치기
초두효과(Primary Effect)란 무엇인가? 초두효과 파헤치기
초두효과란 무엇인가? 초두효과란 뇌에 처음 입력된 정보가 나중에 입력된 정보보다 기억에 강하게 남는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초두효과는 일상 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심리학 현상입니다. 흔
whatadictionary.tistory.com
최신효과와 초두효과의 차이점
처음 입력된 정보 자체가 뇌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초두효과의 내용과 반대로 최신효과는 가장 마지막에 정보가 주어졌을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 입니다. 두 가지 심리효과는 항상 같이 언급되는 용어입니다.
최신 효과의 예를 들자면 시험을 보기 몇 시간전에 벼락치기 하여 공부했던 내용이 더 뚜렷히 기억난다거나, 번호를 암기하 때에 마지막 번호만 떠오른다는 내용이 이에 해당합니다.
최신 효과의 발생 시점과 사례
초신 효과와 초두효과 어느 것이 더 강하게 작용하냐는 질문이 계속해서 나오는데, 초기에 정보가 너무 짧은 시간에 제시되어 기억이 없어져 첫인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최신 효과가 더 높은 확률로 발생 가능하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첫사랑의 기억을 가지고 살던 사람이 오랜만에 첫사랑을 만났다고 가정하였을 때, 오래전의 기억으로 남은 그 사람에 대한 기억보다 현재의 기억이 더 강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죠. 이러한 작용은 회사에서도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근무 평가를 할 때 한 사람의 근무 성적을 1년간 근무하던 근무 성적에 의거하여 평가한다기 보다 그 사람이 1년간 어떻게 근무를 했건 최근에 기여 했던 성적으로 근 1년간의 전체 성적이 메겨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죠.
이러한 효과들이 흔히 일상 생활에서 발견할 수 있는 최신 효과입니다.
댓글